2025 CES와 오사카 엑스포로, 긱블과 함께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출발
2025 CES 출품작 전시 및 인기 유튜버 ‘긱블’의 오사카 엑스포 체험 강연회 개최
2025 CES와 오사카 엑스포로, 긱블과 함께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출발
세움뉴스 | fmebsnews
2025 CES 출품작 전시 및 인기 유튜버 ‘긱블’의 오사카 엑스포 체험 강연회 개최
국립중앙과학관(관장 권석민)은 오는 4월 26일(토)부터 4월 27일(일)까지 양일간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긱블과 함께 가는 해외 첨단기술박람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 출품된 첨단제품을 만나볼 수 있는 자리로, 관람객들에게 최첨단 기술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세계 최초의 스마트 안전 고글인 ‘Vision X’, 지능형 골프 클럽 ‘G-Grip’등 2025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하여 주목받은 제품들이 전시될 예정이다.
또한, 4월 27일에는 공학 및 과학 교육 분야에서 높은 인기를 얻어 약 12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유튜버‘긱블’이 강연자로 나서서 직접 체험한 2025 오사카 엑스포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와 CES의 주요 이슈를 전할 예정이다.
2025 오사카 엑스포 =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들어진 미니심장 등 다양한 첨단 콘텐츠들이 전시되는 세계 박람회로 2025년 4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일본에서 개최
본 행사는 로봇을 주제로 한 첨단기술과 문화예술 융복합 행사인 2025 TechConE와 함께 개최하여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관람객들이 보다 폭넓게 최신 과학기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국립중앙과학관 권석민 관장은 관람객들이 글로벌 첨단기술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고 직접 체험하며 미래 기술을 더욱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이번 행사를 준비하였다면서, 앞으로도 국립중앙과학관은 일반 대중들이 최첨단 기술을 향유하고 과학기술적 소양과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표 과학기술 문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긱블과 함께 가는 해외 첨단기술박람회 행사는 무료로 운영되며 강연의 경우 4월 27일(일)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개최된다. 강연 시작 30분 전부터 현장 선착순으로 입장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각·청각장애인용 TV 32,000대 신청 접수 시작합니다!
세움뉴스 | fmebsnews
방통위, 4월 15일부터 온라인 또는 전국 지자체에서 현장 접수
시각·청각장애인용 TV 32,000대 신청 접수 시작합니다!
- 방통위, 4월 15일부터 온라인 또는 전국 지자체에서 현장 접수 -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방통위’)는 시각·청각장애인이 손쉽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시각·청각장애인용 맞춤형 TV를 32,000대 보급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12,000대 더 많은 수량이며 저소득층을 포함한 전체 시각·청각장애인들에게 보급할 예정이다.

사진 설명: 2024년 시각·청각장애인용 TV 보급 신청 안내
방통위는 증가한 물량을 효율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1차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4월 15일부터 5월 10일까지, 2차로 그 외 대상자를 대상으로 6월 3일부터 6월 21일까지 나누어 접수를 받아 시각·청각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게 맞춤형 TV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맞춤형 TV는 주민등록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시청자미디어재단 시각·청각장애인용TV 보급 전용 누리집(tv.kcmf.or.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시각·청각장애인용 맞춤형 TV 보급 사업은 ’00년에 자막방송 수신기, 화면해설방송 수신기로 시작되어 ’13년도부터는 TV 형태의 통합수신기로 발전했고, 지속적인 기능 개선도 이뤄져 ’23년까지 총 260,378대를 보급했다.
해당 사업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맞춤형 TV를 보급하여 왔으나 ’22년부터는 전체 시각·청각장애인으로 보급 대상을 확대해 좀 더 많은 시각·청각장애인들이 방송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보급될 시각·청각장애인용 맞춤형 TV는 40형 고화질(풀HD) 스마트TV이며, 조작메뉴가 음성으로 안내되고,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장애인방송(폐쇄자막·화면해설·한국 수어) 유형이 표시되며, 폐쇄자막과 수어화면을 분리할 수 있고 크기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편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사진 설명: 2024년 시각·청각장애인용 TV 보급 제품 기능
특히 올해에는 색각 이상자를 위해 방송화면에 흑백 또는 적·녹·청색 필터를 적용해 인식이 어려운 색상을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 탑재했다.
맞춤형 TV 보급 사업에 대한 문의는 대표전화(1688-4596)와 전용 누리집(tv.kcmf.or.kr)을 통해 할 수 있고, 관련된 안내영상은 방통위(youtu.be/e5b6ubRW2m8) 및 시청자미디어재단(youtu.be/biXUlCCIb9U)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