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의 세계로 풍덩… 생물다양성교육 참가자 모집

국립생물자원관, 2월 12일부터 2025년도 1학기 교육 참가자 모집 시작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생물다양성의 세계로 풍덩… 생물다양성교육 참가자 모집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국립생물자원관, 2월 12일부터 2025년도 1학기 교육 참가자 모집 시작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212일부터 유아(3~5), 어린이(6~12), 청소년(13~18)을 대상으로 2025년도 1학기 생물다양성교육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이후 다양한 생물다양성, 생물자원 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학기는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한 생물다양성교실, 특수교육 대상 생물다양성교실, 생물다양성 진로교실로 구성해 325일부터 711일까지 운영한다.


생물다양성교실은 국립생물자원관이 자체 개발한 교구와 교재를 활용해 생물다양성과 생물자원의 중요성을 배우고 체험하는 과정으로 생물다양성은 우리의 생명등 총 7개의 대면 및 비대면 교육과정에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참여할 수 있다.


특수교육 대상 생물다양성교실은 각급학교의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장애인 복지관 등의 단체를 대상으로 자생생물을 알아보는 맞춤형 생물다양성 대면 교육인 알록달록 생물다양성을 비롯해 비대면 교육 3개 과정을 매주 운영한다.


2025년 1학기 교육 안내 전단.jpg


생물다양성 진로교실은 중, 고등학교 연령대(13~18)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 체험 과정으로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연구 과정을 체험하고 생물 관련 직업 세계를 탐색해 볼 수 있도록 대면교육과 비대면 교육 2개 과정으로 진행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jpg


생물다양성교실은 212일부터 35일까지, 특수교육 대상 생물다양성교실은 218일부터 37일까지, 생물다양성 진로교실은 35일부터 319일까지 모집한다.


생물다양성교육 참가자를 모집.jpg


생물다양성교육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학교나 단체는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nibr.go.kr)에서 참가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해 누리집에 올리거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교육과에 전자 공문으로 제출하면 된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생물다양성을 배우고, 보전 활동을 실천할 방법을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전통공예, 맞춤형 체험교육으로 배운다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24년도 상반기 전통공예체험교육 교육생 모집, 3개 학습관(서울·세종·대구)에서 총 16개 과정 운영

전통공예, 맞춤형 체험교육으로 배운다


- 2024년도 상반기 전통공예체험교육 교육생 모집, 3개 학습관(서울·세종·대구)에서 총 16개 과정 운영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원장 김용구)은 오는 3월 4일부터 6월 21일까지 4개월간(16주) 수도권 지역의 서울학습관(서울 강동구 고덕동)과 충청권 지역의 세종학습관(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 영남권 지역의 대구학습관(대구 수성구 만촌동)에서 ‘2024년도 상반기 전통공예체험교육’을 운영하기로 하고, 2월 13일부터 2월 25일까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생을 선착순 모집한다.


전통공예체험교육 안내 자료.png


특히, 이번 학기부터는 대구학습관이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함에 따라 전통자수와 전통전각 과정을 확대 운영하고, 서울학습관에 전통누비 과정을 신설하는 등 3개 학습관에서 총 16개 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더 많은 국민들에게 맞춤형 전통문화교육 체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생은 각 과정별 15명 이내로 선발한다. 서울학습관에서는 단청(문양·별화), 모사(화조화·초상화), 전통서각, 전통누비 등 6개 과정  세종학습관에서는 단청(문양·별화), 전각(전통·디자인), 배첩(족자·장정), 모사(화조화·초상화) 등 8개 과정  대구학습관에서는 전통자수, 전통전각  2개 과정을 운영한다. 각 과정에는 국가무형유산 및 국가유산수리기능인 등 분야별 전문가가 강사로 참여한다.


이번 교육은 전통재료와 도구를 활용한 전통기법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문양과 작품을 그리거나 만드는 등 체험과 실습 위주로 이뤄진다. 수업료와 기자재 사용은 전액 무료이며 일부 소모성 재료만 교육생이 직접 구매하면 된다.


‘전통공예체험교육’은 각 학습관 별 신청 누리집(서울학습관 ‘서울시평생학습포털’ sll.seoul.go.kr / 세종학습관 ‘세종시민대학 집현전’ sjlms.sjhle.or.kr / 대구학습관 ‘대구생활문화센터’ dccc.or.kr)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누리집(nuch.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은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지역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 국민이 전통문화의 가치를 더욱 활발히 함양할 수 있도록 적극행정을 펼쳐나갈 것이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