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연수원, 새로운 시작! 나다운 인생 2막을 열다!

[ 기사위치 교육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연수원, 새로운 시작! 나다운 인생 2막을 열다!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연수원(원장 최영신)23, 퇴직 5년 이내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2025 퇴임기 인생 2막 플러스 연수를 실시했다.


퇴직 교원들의 성공적인 인생 2막을 설계할 수 있도록 마련한 이번 연수에서는 퇴직 후 미래 설계 첫걸음 연금 바로 알기 교육 기부 및 자원봉사 활동 안내 등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한 전반적 정보를 제공했다.


특히, 퇴직 후의 교육 기부 및 자원봉사 활동을 위해 인천 이음 센터를 안내하여 퇴직 교원의 사회적 기여와 지속적 활동을 지원했다.


11.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연수원 새로운 시작! 나다운 인생 2막을 열다!.jpg


연수에 참여한 한 교사는 퇴임을 앞두고 앞으로의 삶을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교원연수원 관계자는 퇴직 교원들이 인생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앞으로도 퇴직 교원들을 위한 연수를 지속해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2023년 연간 전국 지가 0.82% 상승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08년(연간 변동률 0.32%) 이후 15년 만에 최저 수준

2023년 연간 전국 지가 0.82% 상승


- 2008년(연간 변동률 0.32%) 이후 15년 만에 최저 수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은 2023년 연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했다.


2023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png


1. 지가변동률


2023년 전국 지가는 0.82% 상승다. 상승폭은 2022년(2.73%) 대비 1.91%p, 2021년(4.17%) 대비 3.35%p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4분기 지가변동률은 0.46%로, 3분기(0.30%) 대비 0.16%p, 2022년 4분기(0.04%) 대비 0.42%p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근 10개년 분기별 전국 지가변동률 사진.png


(지역별) 수도권(3.03% → 1.08%) 및 지방(2.24% → 0.40%) 모두 2022년 연간 변동률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도) 세종(3.25% → 1.14%), 서울(3.06% → 1.11%), 경기(3.11% → 1.08%) 3개 시도가 전국 평균(0.82%)을 상회했다.


(시·군·구) 용인처인구 6.66%, 성남수정구 3.14%, 군위군 2.86%, 울릉군 2.55%, 강남구 2.43% 등 50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23년 시도별 연간 지가변동률.png


또한, 수도권과 지방은 지가 상승폭에서 차이를 나타냈으며, 250개 시군구 중 89개 시군구가 연간 지가변동률 0.0% ~ 0.3% 수준을 나타냈다.


’23년 연간 지가변동률 구간별 현황권역별 지다지수.png


(최근 동향)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0.01%) 상승전환을 기점으로 10개월 연속 상승을 나타내고 있으나 최근 상승폭이 축소됐다.


’23년 4분기 월별 지가변동률 색인도.png


(용도지역/이용상황별) 녹지지역 1.23%, 공장용지 1.28% 등이 상승했다.


용도지역 이용상황별.png


2. 토지 거래량


2023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82.6만 필지(1,362.4㎢)로 나타났다. 2022년 대비 17.4% 감소(▲38.3만 필지), 2021년 대비 44.6% 감소(▲147.1만 필지)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71.0만 필지(1,263.8㎢)로, 2022년 대비 27.1% 감소(▲26.4만 필지), 2021년 대비 43.1% 감소(▲53.8만 필지)다.


23년 전체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png


(지역별) 2023년 전체토지 거래량은 2022년 대비 대구 18.5%, 대전 6.9% 등 3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14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 46.0%, 부산 42.7%, 대전 40.0% 등 17개 시·도에서 모두 감소했다.


22년 대비 23년 전체·순수토지 거래량 증감률.png


(용도지역/지목/건물용도별) 2023년 토지거래량은 2022년 대비 녹지지역 30.8%, 전 30.6%, 상업업무용 37.4% 등이 감소했다.


용도지역지목건물용도별.png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 자료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eb.or.kr/r-one, 지가변동률 1월 24일 11시, 토지거래량 1월 31일 06시 공표 예정) 및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