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를 위해 고용복지+센터가 취업의 문 연다
청년 등 구직자의 취업을 돕기 위해 주요 권역별 취업드림콘서트 연달아 개최
청년 구직자를 위해 고용복지+센터가 취업의 문 연다
세움뉴스 | fmebsnews
청년 등 구직자의 취업을 돕기 위해 주요 권역별 취업드림콘서트 연달아 개최
고용노동부는 일자리를 찾는 청년들의 어려움과 고민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복지+센터 집중 취업채용지원 기간(12월 2주~3주)을 운영한다.
취업성공을 위한 첫걸음, “2025 취업드림 콘서트” 개최
고용노동부는 집중 취업, 채용지원 기간 동안 민간 주요 채용플랫폼 사람인, 잡코리아와 같이 서울, 부산, 대전 등 6개 권역별로 “2025 취업드림 콘서트”를 개최해 취업전략특강과 직무토크쇼, 일자리 수요데이* 채용행사를 함께 제공한다.
* ‘일자리 수요’가 있는 ‘기업’과 ‘구직자’를 연결하는 날,
채용면접, 취업·채용 지원 프로그램 등 고용서비스 참여 기회 집중제공
취업전략특강은 수시, 경력직 채용에 따른 이, 전직 가속화, 데이터 기반 채용, 인공지능(AI) 면접 등 채용 경향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구직자들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본인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법, 면접전략 등을 제공한다.
직무토크쇼는 그간 고용노동부가 일자리으뜸기업 또는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했던 CJ제일제당㈜, ㈜LG유플러스, 삼성전자㈜, HD현대로보틱스㈜, ㈜크래프톤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우수기업의 현직자가 멘토로 참여하여 입사 공략법과 기업문화 등을 생생하게 전할 예정이다. 현직자 멘토링을 통해 구직자들은 취업 궁금증을 해소하고 입사전략을 세우는 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하는 구직자에게는 청년친화강소기업 ㈜다날, 일자리으뜸기업 주식회사 원광에스엔티 등 지역 우수기업의 채용면접 기회를 제공하는 채용행사도 함께 진행한다.
‘2025 취업드림 콘서트’와 일자리 수요데이 채용행사는 고용복지+센터(workplus.go.kr) 또는 사람인, 잡코리아 누리집을 통해 개최지역과 신청 방법 등을 확인한 후 참여 신청을 할 수 있다.
지역 우수기업이 함께하는 일자리 수요데이 확대
고용노동부는 전국 41개 고용복지+센터에서 집중 취업, 채용지원 기간 동안 일자리 수요데이를 확대해 취업, 채용지원 서비스를 집중 제공한다. 고용복지+센터는 연말까지 일자리으뜸기업, 청년친화 강소기업 등이 참여하는 일자리 수요데이 채용행사를 70여 회 개최한다.
* 고용센터별 일자리수요데이 세부 일정은 고용24(www.work24.go.kr- 채용정보-채용행사)에서 확인
일자리 수요데이에서는 면접 기회뿐만 아니라 이력서 작성법, 면접요령 등 취업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기업의 채용 전형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AI) 모의면접, 역량검사 등 다양한 고용서비스도 참여할 수 있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고용복지+센터의 집중 취업지원을 통해 청년들이 스스로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원하는 기업에 취업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고용복지+센터는 내년에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강화하여 일자리를 찾는 청년들의 취업 여정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용노동부, 직업훈련 혁신을 선도할 베스트직업훈련기관(Best HRD Academy) 선정
세움뉴스 | fmebsnews
베스트직업훈련기관 15개소와 24년 직업훈련혁신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고용노동부, 직업훈련 혁신을 선도할 베스트직업훈련기관(Best HRD Academy) 선정
- 베스트직업훈련기관 15개소와? 24년 직업훈련혁신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원장 최영섭)은 12월 22일(금) 2023년도 베스트직업훈련기관(BHA, Best HRD Academy) 5개소를 선정하고기존에 선정된 10개소 등 15개소와 ‘직업훈련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고용부는 ’21년부터 직업훈련기관 중 엄정한 심사를 거쳐 혁신적 훈련성과를 보인 것으로 인정되는 기관을 베스트직업훈련기관으로 선정해오고 있다. 올해도 공모를 거쳐 자율주행, 로봇 등 기술의 변화의 맞춘 훈련과정을 개발하거나? 시뮬레이터 등을 활용한 새로운 훈련기법 등을 잘 활용하고 있는 우수 기관을 선정했으며, 다른 민간 훈련기관에 혁신사례를 공유하고 직업훈련 혁신을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베스트직업훈련기관 선정 절차 및 방법 ]
|
|
|
베스트직업훈련기관에는 성과협약훈련 참여, 과정심사 시 가점 부여, 역량 개발, 홍보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부여된다. 특히,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시범 도입하는 베스트직업훈련기관 성과협약훈련의 경우, 취업률, 실시 인원과 같은 전통적인 성과지표 외에 새로운 훈련기법·장비의 활용, 다양한 성과평가체계 제시, 산업계 수요의 정밀 반영 등 새로운 성과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체 직업훈련 시장의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태성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민들에게 보다 우수한 훈련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훈련기관 역량강화, 새로운 훈련기법 개발 및 확산 등에 베스트직업훈련기관이 앞장서 주기를 당부한다.”라고 하면서, “우수한 훈련기관을 중심으로 기업과 협업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가 양성될 수 있도록 정부도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최영섭 직업능력심사평가원장은 “직업훈련 선진화를 위해 베스트직업훈련기관 제도가 지속 확대될 수 있도록 훈련기관 컨설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