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선유도 해역, 조선시대에도 서해 연안항로 중요 거점으로 활용

군산 선유도 해역 발굴조사에서 화물 운반 추정 조선 분청사기·곰방대 등 유물 220여 점 발굴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군산 선유도 해역, 조선시대에도 서해 연안항로 중요 거점으로 활용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군산 선유도 해역 발굴조사에서 화물 운반 추정 조선 분청사기·곰방대 등 유물 220여 점 발굴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해 선유도 해역이 고대, 중세뿐 아니라 근세에도 서해 연안항로의 기착지로 활발하게 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을 발굴했다.


선유도 해역 조사는, 해저에서 유물을 목격한 잠수사의 신고를 계기로 2021년 시작되었으며, 2023년까지 선사시대 간돌검을 비롯해 고려청자,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 등 여러 시기를 아우르는 유물 660여 점을 발굴하였다. 현재까지 고선박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화물로 실렸던 청자다발과 선박에서 사용한 노, 닻도 확인되어 이곳에 난파선이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조사에서도 청자 등 도자기 유물 190여 점과 청동숟가락, 상평통보 등 금속 유물 20여 점을 포함해 220여 점의 유물을 발굴하였다. 특히, 분청사기, 백자, 곰방대 등과 같은 조선시대의 유물들은 같은 형태가 여러 점 출수되었는데, 이는 선원들이 사용하던 것이 아니라 배로 운반했던 화물로 추정된다. 태안에서 발굴된 조선 전기 조운선인 마도4호선을 제외하고, 수중 출수된 조선시대 유물 대부분이 선원들이 사용했거나 유실된 유물이었단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곰방대(담뱃대) : 잘게 썬 담배를 피울 때 사용하는 기구로, 담배가 국내로 유입된 17세기 초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출수(出水): 수중발굴조사에서 유물 등이 발견되는 것으로, 출토(出土)와 같은 의미

* 조운선(漕運船): 세곡(조세로 바치는 곡식)과 공물(궁중이나 나라에 바치던 물건)을 운반하던 화물선


또한, 발굴 해역에서는 몇 점의 목제 닻가지가 개흙에 묻힌 채 확인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말기 그려진 만경현 고군산진 지도조운선을 비롯하여 바람을 피하거나 바람을 기다리는 선박들이 머무는 곳이라는 기록을 실증하는 유물이기에 의미가 있다.


* 닻가지 : 닻이 고정되도록 해저에 박히는 갈고리 부분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현재까지 진행된 군산 선유도 해역의 발굴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2025년에 발굴조사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수중 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그 성과를 관련 학계와 국민들에게 공유해 나갈 것이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전기방석, 전기찜질기 등 45개 제품 리콜명령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국표원, 겨울용품 등 1,018개 제품 안전성 조사 결과 발표

전기방석, 전기찜질기 등 45개 제품 리콜명령


- 국표원, 겨울용품 등 1,018개 제품 안전성 조사 결과 발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은 겨울철 수요가 많은 전기방석, 전기찜질기, 방한용품 등 전기·생활용품 및 어린이제품 65개 품목, 1,018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안전기준 부적합 45개 제품에 대해 수거 등의 명령(이하 “리콜명령”)을 내렸다.


금번 리콜명령 처분한 45개 제품은 전기용품 20개, 생활용품 4개, 어린이제품 21개이며, 전기용품으로는 온도상승 부적합으로 사용자 화상 위험이 있는 전기방석(6개) 및 전기찜질기(5개), 감전 위험이 있는 전기스토브(1개) 등이 있다.


리콜대상 제품 사진 촬영 약도.png
사진 설명: 리콜대상 제품 언론공개 사진 및 영상 촬영 기회 제공을 위한 약도<사진 제공 = 산업통상자원부>

생활용품으로는 최고온도 기준치를 초과한 온열팩(1개), 유해화학물질 기준치를 초과한 방한용 마스크(1개) 등이 있으며, 어린이제품으로는 납, 카드뮴 등이 기준치를 초과한 유아용 섬유제품(1개) 및 완구제품(7개), 내구성 기준에 부적합한 유모차(1개) 등이 있다.


국표원은 리콜명령한 45개 제품의 시중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go.kr) 및 소비자24(www.consumer.go.kr)에 제품정보를 공개하고, 전국 24만여개의 유통매장 및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upss.gs1kr.org)”에 등록했다.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해 난방용품 구매 시 반드시 KC인증마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사용시 전원차단 등 사용상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