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졸업자 468명과 새내기 509명, 함께 성과 나누고 격려

11. 28. 안동 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4 이야기할머니의 날’ 행사 개최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졸업자 468명과 새내기 509명, 함께 성과 나누고 격려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11. 28. 안동 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4 이야기할머니의 날’ 행사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 유인촌)는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함께 1128() 오후, 안동 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4년 이야기할머니의 날행사를 열어 이야기할머니 활동 종료자*들과 내년에 새롭게 활동하는 16기 이야기할머니들을 격려한다.


* 이야기할머니 선발 이후 기본 5년 활동 이후 3~5년 이내 추가 활동 가능


이야기할머니 활동 종료자 468명 졸업, 16기 새내기 509명 교육 수료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 축하공연, 이야기할머니 활동 관련 전시도 개최


이번 행사에서는 5년 이상의 활동을 마친 이야기할머니 468명의 졸업식과 함께 올해 1년간 교육을 받고 내년부터 활동을 시작하는 이야기할머니 509명의 수료식을 함께 진행한다. 올해는 매년 서울에서 행사를 열었던 예년과 달리 이야기할머니들이 처음 교육을 받았던 안동에서 졸업식을 개최해 이야기할머니들에게 좀 더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졸업자에게는 5년 이상 현장에서 보여준 헌신과 열정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문체부 장관 감사패와 선물을 전달한다. 그중 아이들과 소통하며 우수한 활동을 펼친 박종애(3), 최정순(6), 손익순(8), 이영분(11) 이야기할머니 4명에게는 공로상으로 문체부 장관 표창을 수여한다. 16기 새내기 이야기할머니 중 우수한 교육성적을 거둔 17명에게는 우수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이야기할머니의 날 행사 개요 및 포스터.jpg


식전 행사로는 현재 전국 순회공연 중인 융·복합 이야기극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 중 하나인 냄새값 소리값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또한 이야기할머니 교육과 활동 모습, 유아들이 그린 그림엽서 등을 전시해 그간의 활동을 돌아보고 참석자들과 사업성과를 공유한다.


* 14개 도시에서 총 28회 순회공연 중(~’25. 1. 25.). ‘냄새값 소리값은 총 8개의 공연 내용 중 부자영감과 지혜로운 농부 아들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극 중 하나


현재 이야기할머니 3,200여 명, 전국 8,300여 개 유아 교육기관에서 활동,

지역 현장에서 자부심 느끼며 활동할 수 있도록 뒷받침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는 전국 유아 교육기관에 할머니를 파견해 유아들에게 옛이야기와 선현 미담을 들려줌으로써 미래세대의 창의력을 함양하고 세대 간 문화교류를 활성화하는 사업이다. 2024년 기준 이야기할머니 3,200여 명이 8,300여 개 유아 교육기관에서 유아 약 50만 명에게 우리의 옛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특히 2023년부터는 파견 기관을 확대해 초등학교 돌봄교실에서도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문체부 이정우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어르신들과 아이들이 교감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은 상황 속에서 할머니들이 옛이야기를 전하면서 아이들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시간은 아이들의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미래세대인 우리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라며 문체부는 이야기할머니들이 현장에서 자부심을 느끼며 활동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2024학년도 1학기 법학전문대학원 국가장학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24학년도 1학기 법학전문대학원 국가장학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배병일, 이하 ‘재단’)은 2024학년도 1학기 법학전문대학원 국가장학금 신청을 12월 12일(화) 9시부터 접수한다.


법학전문대학원 국가장학금은 능력과 열정을 갖춘 취약계층 학생들이 학비 부담 없이 학업에 매진하고, 법조인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2016년부터 소득구간 연계를 바탕으로 국가·학교가 지원하는 장학금이다.


2024학년도 1학기 법학전문대학원 국가장학금 홍보 자료.png


신청 기간은 2023년 12월 12일(화) 9시부터 2024년 1월 9일(화) 18시까지이며, 신청 대상은 법학전문대학원 신입생(입학예정자) 및 재학생으로 재단누리집(https://www.kosaf.go.kr)에서 24시간 신청이 가능하다.


[2024학년도 1학기 법학전문대학원 국가 장학금 신청 개요]

(기간) 2023.12.12.(화) 9시 ~ 2024.1.9.(화) 18시

(서류 제출,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2023.12.12.(화) 9시 ~ 2024.1.16.(화) 18시

(대상) 법학전문대학원 신입생(입학예정자) 및 재학생

(방법) 한국장학재단 누리집(https://www.kosaf.go.kr)에서 신청


교육부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소득 3구간 이하의 학생들에게 등록금을 전액 지원하며, 소득 3구간을 초과하는 학생들에게도 재학(예정) 중인 학교의 재정적 여건을 감안해 차등 지원한다.


아울러, 교육부는 매년 각 법학전문대학원의 등록금 대비 장학금 지급률, 전년 대비 장학금 증감률, 등록금 수준 등을 고려하여 학교별 장학금을 배정함으로써 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학교 자체적인 지원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국가장학금 신청자는 2024년 1월 16일(화) 18시까지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및 서류 제출을 완료해야 한다.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는 재단 누리집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동의 대상 가구원은 미혼 학생의 경우 부·모이고, 기혼 학생의 경우 배우자이다. 가구원이 외국인이거나 해외에 체류 중인 경우, 고령이나 농어촌 지역 거주 등으로 재단 누리집을 활용한 동의가 어려운 경우에는 별도 서류(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제출을 통해 가구원 동의가 가능하다.


신청 결과는 재단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세부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전화 상담(☎1599-2000) 또는 재단의 각 지역센터에 방문하여 일대일 맞춤형 상담을 받을 수 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