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재활사업·인공지능(AI) 영상관제 시스템, 우수한 스마트도시 서비스로 ‘인증’

(스마트도시) 경기 고양시(대도시), 서울 동대문구·세종시·의정부시(중소도시) 4곳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로봇재활사업·인공지능(AI) 영상관제 시스템, 우수한 스마트도시 서비스로 ‘인증’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스마트도시) 경기 고양시(대도시), 서울 동대문구·세종시·의정부시(중소도시) 4곳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고양시(대도시), 서울 동대문구세종시의정부시(중소도시) 4곳을 ’24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 자전거 지킴이 솔루션(서경산업, 교통 분야)’24년 스마트도시 서비스로 신규 인증했다.


스마트도시 인증은 지자체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1년부터 시작한 사업이다.


스마트도시 서비스 및 기반시설 수준, 공공의 역량과 혁신성, 거버넌스·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평가했다.


(평가기준) 대도시/중소도시로 유형을 구분(인구 50만 기준)하고, 53개의 세부 평가지표로 총 배점의 70%의 이상(2,000점 기준 1,400점 이상) 평가받은 도시에 인증을 부여


올해 신규 인증한 스마트도시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양시는 실시간 이상상황을 감지하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영상 관제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술 융복합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동대문구는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장애인 로봇재활사업과 어린이·보행자의 교통안전을 위한 스마트 교통안전 시스템 등을 운영하여 시민의 안전과 복지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는 세종투표, 리빙랩, 시민증, 행사예약 등을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세종 시티앱과 86가지 도시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시민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앱인 세종생활 포털(세종엔)을 운영하여 시민 편의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의정부시는 버스정류장 내 CCTV 접목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버스승강장 정차안전시스템과 보행위험 지점에 사물인터넷(IoT) 센서 기반의 안전한 보행환경을 구현한 것이 특징적이다.


버스승강장 정차안전시스템].jpg

사진설명. 버스승강장 정차안전시스템


한편, ’22년 인증을 받은 도시들의 인증 재검토기간(2)이 도래하여 지속 여부를 심사한 결과, 신청한 7* 모두 인증 연장으로 결정했다.


* (대도시) 경남 김해시, 인천시 / (중소도시) 강원 강릉시, 대구 달서구, 서울 강동구, 서울 서초구, 경기 오산시 (가나다 순)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은 주민 삶의 질 개선, 도시경쟁력 제고 기여도, 네트워크 연계성, 운영 및 유지보수성 등 55개 세부지표로 평가했고, 도시 인증과 같이 총 배점의 70% 이상 평가를 받은 서비스에 인증을 부여했다.


이번에 선정된 스마트 자전거 지킴이 솔루션”(서경산업)은 서울시 양천구청·주민센터·경찰지구대와의 협업을 통한 자전거 도난방지 솔루션으로 주민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인증을 획득하게 됐다.


아울러, ’22년 인증을 받은 서비스 3*에 대해서도 지속 여부를 심사한 결과, 모두 인증 연장으로 결정했다.


* MDS모빌리티의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oT) 공유주차 서비스, 수원도시공사외1개사의 스마트 통합주차정보 시스템, 주식회사 대흥정보의 스마트 파킹시스템 등 3


인증 도시와 인증 도시 서비스를 개발한 기업 등에는 국내외에 우수한 스마트도시, 스마트도시 서비스 기업으로 홍보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함께 동판을 수여한다.


국토교통부 윤영중 도시경제과장은 올해로 4년째 운영되고 있는 인증제를 통하여 스마트도시에 대한 지자체와 기업들의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사례가 국내외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반짝 매장’에서 환경표지 제도·제품 알아보자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스타필드 고양에서 환경표지 반짝 매장 선보여

‘반짝 매장’에서 환경표지 제도·제품 알아보자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스타필드 고양에서 환경표지 반짝 매장 선보여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12월 2일부터 15일까지 스타필드고양(경기도 고양시 소재)에서 환경표지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환경표지 반짝 매장’(팝업 스토어)를 운영한다.


환경표지 인증도안.png

인증제품 예시, EL303주방용 세재.png

환경표지 인증도안
인증제품 예시, EL303주방용 세재

인증제품 예시.png

환경표지는 기업이 환경성을 개선한 제품에 인증도안을 붙여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환경표지 인증제품을 구매하면서 친환경·탄소중립을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인증제도다. 현재 환경표지 인증제품은 1만 9,861개 있으며 이 중 생활밀착형 제품 등을 반짝 매장에서 선보인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주말 방문객을 대상으로 참여 행사도 함께 운영하여 반짝 매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예정이다. 방문객이 환경표지 퀴즈를 풀거나 녹색사자{‘녹색제품을 사자’라는 뜻의 환경표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공식 캐릭터} 사진 구역을 촬영 후 인증하면 환경표지 인증제품 등의 기념품을 제공한다.


반짝 매장은 녹색특화매장으로 지정된 올가홀푸드 내에서 운영되며, 시설물을 환경친화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새활용전시 전문기업 윤앤코의 도움을 받았다. 반짝 매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환경표지 공식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eco_label_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환경표지 반짝 매장이 소비자에게 환경표지를 알리는 접점 역할을 할 것”이라며, “환경표지와 친환경 생활을 확산하도록 접점 마련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