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에서 발견된 흑요석 등 토대로 강원 지역 신석기문화 조명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강원 신석기문화의 여정’ 학술대회 개최(11.22. 강릉 율곡연구원)
동해안에서 발견된 흑요석 등 토대로 강원 지역 신석기문화 조명
세움뉴스 | fmebsnews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강원 신석기문화의 여정’ 학술대회 개최(11.22. 강릉 율곡연구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한국신석기학회(회장 최종혁)와 함께 11월 22일 오전 10시 율곡연구원(강원 강릉시)에서 ‘강원 신석기문화의 여정’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그동안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의 신석기문화 연구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동해안에서 출토된 흑요석의 산지 분석 결과와 결상이식의 형식에 대한 검토 등을 통해 한·중·일의 교류 관계를 재조명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결상이식(狀耳飾): 옥석을 둥글게 가공하여 귓불에 구멍을 뚫어 거는 고리형의 귀걸이
이번 학술대회는 총 2부로 구성되며, 기조강연을 포함하여 총 9개의 발표가 진행된다. 제1부에서는 강원 지역 신석기시대 주요 유적의 조사·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동북아 신석기문화의 결절점, 강원지역 신석기시대 연구 성과와 과제’(임상택, 부산대학교)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토기를 통해 본 신석기시대 중동부지역의 위치’(김은영, 부산박물관), ▲ ‘동북아시아의 결상이식’(미즈노에 카즈토모, 일본 도시샤대학)의 2개 주제발표를 통해 동북아시아 신석기문화의 한 축을 담당한 강원 지역 신석기문화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어지는 제2부에서는 ▲ ‘동해안지역 석기제작기법과 지역관계’(윤정국, 국립공원공단), ▲ ‘흑요석 산지분석 결과로 본 중동부지역의 교류관계’(오바타 히로키, 일본 쿠마모토대학), ▲ ‘동해안지역 어로구의 특징과 해양자원 이용양상’(이영덕, 문화유산마을), ▲ ‘신석기시대 동해안의 환경과 문화’(소상영, 한양대학교박물관), ▲ ‘중동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을 통해 본 거주 양상과 교류’(구자진, 한국토지주택공사), ▲ ‘한국 출토 신석기시대 배와 동해안의 석호 문화’(임학종, 전 국립김해박물관)까지 총 6개의 주제발표를 통해 강원 지역의 신석기문화와 생활상을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 어로구(漁撈具): 수산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할 때 사용한 도구
* 석호(潟湖): 해안의 만(灣)의 입구에 조류가 운반해온 모래와 암석들이 만의 입구에 쌓여 형성된 호수
학술대회는 당일 현장에서 등록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전화(042-860-9289)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강원 지역이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선사문화 연구의 중심지로 거듭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고고학 조사연구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 및 학계의 전문가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리산둘레길, 역사·문화를 품은 국가숲길로 거듭나다
세움뉴스 | fmebsnews
산림청, 2일 속리산둘레길 국가숲길 지정 기념행사 개최
속리산둘레길, 역사·문화를 품은 국가숲길로 거듭나다
- 산림청, 2일 속리산둘레길 국가숲길 지정 기념행사 개최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산림의 생태적,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아 9번째{ 국가숲길 9개소: 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 백두대간트레일, 디엠지(DMZ)펀치볼둘레길, 내포문화숲길, 울진금강소나무숲길, 대전둘레산길, 한라산둘레길, 속리산둘레길} 국가숲길로 지정된(’23.11.8 지정) “속리산둘레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것을 다짐하고 대국민 홍보를 위해 12월 2일 보은군 솔향공원에서 속리산둘레길 국가숲길 지정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 설명: 속리산둘레길 국가 숲길 지정식 퍼포먼스 <사진 제공 =산림청>
이번 행사에서는 산림청장, 충북도지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숲길 지정을 기념하는 퍼포먼스, 제막식, 국가숲길 걷기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됐다.
속리산둘레길은 백두대간을 관통하고 법주사를 포함한 속리산국립공원과 조령옛길을 포함하는 문경새재도립공원 등이 있으며 충청북도(보은군, 괴산군), 경상북도(상주시, 문경시)를 통과하는 208.6km의 둘레길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의 생태적,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숲길을 연차적으로 국가숲길로 지정할 계획”이라며, “국가숲길에 숨은 경관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적극 발굴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