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내 장고 모양 고분의 축조기술과 제사 흔적 확인

고분 축조에 사용된 작업로 등 축조기술과 의례에 사용된 토기 등 확인… 현장설명회(11.22.)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내 장고 모양 고분의 축조기술과 제사 흔적 확인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고분 축조에 사용된 작업로 등 축조기술과 의례에 사용된 토기 등 확인… 현장설명회(11.22.)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유은식)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발굴조사에서 영산강 유역에 조성된 장고분의 구조와 축조공법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확인하였다. 이에 1122일 오후 2시 발굴 성과를 일반에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 발굴현장: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마산리 16-2번지 일원


* 장고분: 장고 모양을 닮은 고분으로, 방형 분구(方部)와 원형 분구(圓部)를 붙여놓은 형태로 주위에는 도랑이 둘러져 있음. 영산강 유역에서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축조되었으며 현재까지 총 16기가 확인됨.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은 영산강 유역에 분포하는 장고분 중 유일하게 다수의 다른 원형 고분들과 함께 고분군을 이루고 있어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적 중 하나이다. 이에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는 고분의 구조와 축조방법, 조영 순서를 밝혀 유적 경관을 복원하고,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부터 연차적으로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장고분의 구조와 축조공법을 추정할 수 있는 여러 단서들을 확보하였다. 먼저, 장고분의 분구와 도랑은 각각 직경 21.5m, 27.5m인 원의 중심과 교차점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구획되어 있어 고분 설계 단계부터 정밀한 측량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 분구(墳丘) : 흙을 쌓아 올려 만든 언덕 형태의 봉분


이와 함께, 견고한 고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공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방형(사각형) 분구는 고분의 중심을 따라 네모난 블록을 먼저 쌓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흙을 쌓아 올렸다. 분구의 경사면 아래쪽은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제방()의 형태로 흙을 쌓고, 점토덩어리(토낭)를 섞어 보다 견고하게 축조했다.


원형 분구는 돌방과 함께 4차에 걸쳐 축조되었는데, 방형 분구에 비해 단순하게 쌓아올렸다. 처음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조성하다가, 점차 바깥쪽을 높게 쌓는 양상을 보였다. 성토가 진행되면서 원형 분구가 점차 높아지자 방형 분구를 조성해 돌방 축조를 위한 진입로를 확보한 흔적도 확인했다.


* 돌방: 고분 안에 돌로 조성한 무덤방


또한, 돌방 입구 등에서 당시 장송의례와 관련한 자료도 확보하였다. 돌방 입구는 폐쇄 후 다시 파낸 흔적이 확인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고분의 주인은 생전에 무덤의 외형을 먼저 완성시킨 후 나중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방형 분구 서쪽 모서리에는 고분 위로 올라갈 수 있는 통로가 확인되었고, 도랑에서는 중국 남조에서 수입된 동전 문양 항아리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토기들이 흩어져 있어 고분 위에서 제사행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고분군의 서쪽 경사지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7동과 석관묘를 추가로 확인하여, 이 일대가 청동기시대부터 중심지 역할을 했음을 재확인했다.


이번 현장설명회는 누구나 별도 신청 없이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전화(061-339-1122)로 문의하면 된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영산강 유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를 진행하고, 그 성과를 국민과 관계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으로 공유해 나가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산림녹화기록물」, 「제주 4.3사건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 제출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25년 5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등재 여부 확정

「산림녹화기록물」, 「제주 4.3사건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 제출


- 2025년 5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등재 여부 확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 심의를 거쳐 차기(2025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산림녹화기록물」과「제주4.3사건기록물」에 대한 등재신청서를 제출했다.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제도의 국가별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한「세계기록유산 일반지침(General Guidelines of the Memory of the World (MoW) Programme)」과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 운영에 관한 규정」(문화재청 훈령 제568호)에 따라 세계기록유산 제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 심의하는 기구이다.


70년대홍보물.png


「산림녹화기록물」은 6.25전쟁 후 황폐화된 국토에 민·관이 협력해 공적인 국가 재건을 이뤄낸 산림녹화 경험이 담긴 자료이다. 세계의 다른 개발도상국이 참고할 수 있는 모범 사례이자 기후변화, 사막화 방지 등 국제적 논점(이슈)에 본보기(롤 모델)가 될 기록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제주 4.3사건 기록물」은 1948년 4월 3일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발발한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수많은 민간인 학살에 대한 피해자 진술, 진상규명과 화해의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세계사적으로 인권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제주도민들의 화해와 상생 정신을 통해 아픈 과거사를 해결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주4.3기록불제주읍인민위원회결정서성명서1947.png


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7년여에 걸쳐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한국 현대사에서 6.25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극심했던 사건을 말한다.


문화재청은 2건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서를 제출기한인 11월 30일(현지시간)에 맞춰 유네스코에 제출했으며, 이들 기록유산은 2025년 5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최종 등재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앞으로도 문화재청은 세계적으로 보존해야 할 가치 있는 기록유산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의 등재를 확대해 나가고, 우리나라의 우수한 기록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