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

11. 13. 부산 벡스코에서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 시상식 개최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11. 13. 부산 벡스코에서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 시상식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한국게임산업협회(회장 강신철, 이하 게임산업협회)와 함께 1113(), 부산 벡스코에서 올 한 해를 빛낸 국내 게임의 성과를 축하하는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시상식을 개최했다.


나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원작 웹툰을 훌륭하게 게임으로 재탄생시켜 대상 수상


올해 대상(대통령상)의 영예는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가 차지했다. 최우수상(국무총리상)스텔라 블레이드, 우수상(문체부 장관상) 부문은 로드나인’, ‘트릭컬 리바이브’, ‘퍼스트 디센던트’ 3개 게임이 받았다.


한화생명이(e)스포츠는 그동안 이스포츠에 보인 지속적 관심과 적극적 활동을 인정받아 이스포츠발전상(문체부 장관 표창)’, 김규철 전() 게임물관리위원장은 지난 3년간 게임위원장으로서 보여준 게임산업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공로상(문체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그 밖에도 기술 창작상스타트업 기업상’, ‘바른게임환경조성기업상, 15개 부문에 대한 시상이 이루어졌다.



부 문

훈격 / 부상

수상작/

본상

대 상

대통령상(트로피)

상금 15,000,000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최우수상

국무총리상(트로피)

상금 10,000,000

스텔라 블레이드

우수상(3)

장관상(트로피)

로드나인

트릭컬 리바이브

퍼스트 디센던트

우수개발자상

장관상

김형태

(스텔라블레이드)

인기게임상

장관상

스텔라블레이드

이스포츠발전상

장관표창

한화생명e스포츠

인디게임상

장관상

상금 5,000,000

터미너스:

좀비 생존자들

공로상

장관표창

김규철

캐릭터

전자신문사장상

스텔라블레이드

그래픽

스텔라블레이드

사운드

스포츠조선사장상

스텔라블레이드

기획

/시나리오

스텔라블레이드

스타트업 기업상

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

렐루게임즈

바른게임환경조성 기업상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상

스마일게이트 홀딩스

메가포트 지점

굿 게임상

게임문화재단이사장상

언커버 더 스모킹 건


특히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의 지식재산(IP)을 게임으로 확장한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는 많은 게임 이용자들의 사랑을 받아 올해 대상을 수상했다.


문체부 윤양수 콘텐츠정책국장은 대한민국 게임산업은 게임인들의 노력 덕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고, 이제 다른 콘텐츠 지식재산(IP)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라며 문체부는 앞으로도 게임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해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사회적 토대를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정부공용스튜디오‘ 개소로 정책 소통 효율성 높인다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47개 부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스튜디오 개소, 콘텐츠 제작 비용·시간 절감

‘정부공용스튜디오‘ 개소로 정책 소통 효율성 높인다


- 47개 부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스튜디오 개소, 콘텐츠 제작 비용·시간 절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정책 콘텐츠 제작 시간과 비용을 줄여 정책 소통 효율성을 높이고자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47개 부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정부공용스튜디오’를 마련한다.


지난 11월 22일(수)에 개소한 ‘정부공용스튜디오’는 공간 제약이 있는 일반 스튜디오와 달리 엘이디(LED) 벽면과 실시간 렌더링(실제 촬영되는 영상을 3차원(3D) 기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그래픽이미지와 합성하는 기술 , 카메라 위치 추적 등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스튜디오 공간을 가상현실로 확장해 밖에 나가지 않아도 몰입감 있는 실감형 현장 콘텐츠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정부공용스튜디오 확장현실(XR)적용 예시.png
사진 설명: 정부공용스튜디오 확장현실(XR)적용 예시<  사진 제공 = 문체부>
※(정부공용스튜디오 확장현실 적용 모습. 엘이디(LED)와 증강현실을 활용해 스튜디오를 실감나게 현장처럼 바꿀 수 있다.


현재 대다수 부처는 외부 스튜디오에서 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있고 직접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일부 부처도 크로마키 등 별도 합성작업이 필요한 일반 스튜디오 중심이라 시간과 비용 면에서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문체부는 부처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확장현실을 적용할 수 있는 스튜디오를 구축했다. 문체부는 앞으로 실무자를 대상으로 확장현실 스튜디오 활용 교육을 진행하고, 활용 안내 책자를 제작·배포하는 등 스튜디오 사용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정부공용스튜디오’가 정부의 콘텐츠 경쟁력과 정책 소통 역량을 높이는 데 실질적인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운영 상황과 부처 의견 등을 살펴 확장현실 구현 수준을 높이고 정부 부처가 있는 다른 지역에도 스튜디오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