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글로벌 메타버스 컨퍼런스(GMC) 개최
과기정통부, ‘메타버스에서 책임있는 혁신과 글로벌 윤리 규범의 정립’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2024 글로벌 메타버스 컨퍼런스(GMC) 개최
세움뉴스 | fmebsnews
과기정통부, ‘메타버스에서 책임있는 혁신과 글로벌 윤리 규범의 정립’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허성욱, 이하 ‘NIPA’) 및 국제 메타버스 학회(회장 현대원, 이하 ‘IMA’)는 10월 18일(금),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2024 글로벌 메타버스 컨퍼런스(Global Metaverse Conference, 이하 ‘2024 GMC’)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4 GMC는 세계 최초로 제정된 가상융합산업 진흥법 제정 원년을 기념하여 한국의 선도적인 메타버스 규범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웹 3.0 시대에 적합한 디지털 新질서와 글로벌 상생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는 ‘BRIDGE*(메타버스에서 책임있는 혁신과 글로벌 윤리 규범의 정립)’라는 주제 아래 국내외 전문가들의 다채로운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으며, 2024 코리아 메타버스 페스티벌(KMF 2024)과 연계하여 진행되어 국내외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 BRIDGE : Building Responsible Innovation and Developing Global Ethics standards
(메타버스에서 책임있는 혁신과 글로벌 윤리 규범의 정립)
행사 오전에 진행된 ‘디지털 新질서와 글로벌 메타버스 전략’ 세션에서는 세계적인 사회학 석학이자 인종 및 문화 연구의 권위자인 펜실베니아주립대 샘 리처드 교수가 기조강연자로 나서 ‘메타버스와 한국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샘 리처드 교수는 특히 한국인의 공동체 정신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있다며, 한국 시민사회의 힘을 바탕으로 한국이 미래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이어 국내 기조강연자로 나선 IMA 현대원* 회장은 ‘윤리적이고 혁신적인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민간 자율 규제와 정부의 균형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현대원 회장은 대한민국 정부가 세계 최초로 시행한 가상융합산업 진흥법의 의의와 자율규제 방안, 메타버스 윤리원칙 등의 선도적인 국내의 메타버스 규범을 소개했다.
* 서강대학교 메타버스 전문대학원 원장, 국제메타버스학회(IMA) 회장
오전 마지막 발표는 구글코리아 박선민 대외정책협력 상무의 ‘가상융합 기술을 활용한 지식공유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박선민 상무는 구글 어스(Google Earth)와 구글 아트앤컬쳐(Google Arts & Culture) 사례 등을 통해 가상융합 기술을 활용한 구글의 사회공헌 활동을 소개했다.
이후 오후 진행된 컨퍼런스에서는 ‘기술’, ‘사회’, ‘산업’의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됐다. 처음으로 ‘기술(Technology: Metaverse and AI)’ 세션에서는 ‘메타버스와 AI 기술 융합이 가져오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주제로 인공지능(AI) 시대에서 메타버스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윤리적 문제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진 ‘사회(Society: Metaverse Citizenship)’ 세션에서는 ‘메타버스 시민 역량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주제로 메타버스 이용자 윤리교육, 디지털 시티즌십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마지막 주제인 산업(Industry: Metanomics & New BM)’ 세션에서는 ‘메타노믹스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메타버스 생태계 확장’을 주제로 메타버스 서비스 및 콘텐츠의 확장을 통한 혁신과 새로운 지속가능성 등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이후 마지막으로 진행된 종합토론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메타버스 생태계 진화 방향과 구성원이 지향해야 하는 글로벌 메타버스 규범(좌장: 마카나 척 교수)’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지속가능한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윤리적·제도적 규범 확립이 중요하다”며, “세계 최초로 제정된 가상융합산업진흥법, 메타버스 윤리원칙 등 한국의 선진적인 메타버스 규범이 글로벌 신질서를 선도하기 위해서 정부는 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겠으며,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응원 영상’ 직접 심사해주세요
세움뉴스 | fmebsnews
41개 중앙부처 공무원이 직접 만든 응원 영상 국민 투표 이벤트 개최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응원 영상’ 직접 심사해주세요
- 41개 중앙부처 공무원이 직접 만든 응원 영상 국민 투표 이벤트 개최
- 전문가 심사 상위 영상 10개 작품 공개, 국민 심사 진행
문화체육관광부는 10월 30일(월)부터 11월 12일(일)까지 41개 중앙부처가 참여,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응원하는 ‘짧은 영상(숏폼) 국민 투표 이벤트(쇼케이스)’를 열고 국민과 함께 응원 열기를 이어간다.
41개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응원하기 위해 창작자로 변신해 영상 기획부터 촬영, 연기, 제작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소화했다.

사진 설명: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응원 숏폼 쇼케이스 누리집 갈무리 화면
이번 행사에서는 41개 작품 중 전문가 심사를 통해 선정된 상위 10개 작품을 11월 12일(일)까지 온라인(https://promotion.daum-kg.net/2030busan)으로 공개하며 시청 이벤트를 진행한다. 국민 누구나 공개 영상을 시청한 후 ▲창의성과 ▲이야기(스토리텔링), ▲흥미도 세 가지 평가 사항을 심사하면 된다. 행사에서 선보이지 못한 영상은 각 부처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첨을 통해 심사 참여자에게 ‘부산 여행 상품’, ‘방탄소년단 기념품’ 등 선물
심사에 참여한 국민에게는 추첨을 통해 ▲부산 세계박람회상(부산 여행 상품) 20명, ▲유치상(부산 유치 응원 기념품 방탄소년단 후드 집업) 20명, ▲성공상(오설록 전통차 티백세트) 20명, ▲응원상(부산 유치 응원 기념품 스타벅스 텀블러) 20명, ▲기대상(CU 모바일 상품권 1만 원) 200명 등에게 소정의 선물도 제공한다. 추첨 결과는 11월 15일(수), 행사 온라인 페이지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문체부 박용철 국민소통실장은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중앙부처가 모두 참여한 최초 ‘영상 국민 투표 이벤트(쇼케이스)’다. 이번 기회를 통해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로서 부산의 가치를 알리고, 부산 유치를 위한 전 국민의 응원 열기가 더욱 뜨거워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