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조달의 첫 관문, ‘정부 물품목록제’ 혁신, 시장 기업 중심으로
UNSPSC(유엔표준제품 및 서비스 분류체계) 도입 후 21년 만에 전면 개편
공공조달의 첫 관문, ‘정부 물품목록제’ 혁신, 시장 기업 중심으로
세움뉴스 | fmebsnews
UNSPSC(유엔표준제품 및 서비스 분류체계) 도입 후 21년 만에 전면 개편
조달청(청장 임기근)이 민간시장의 기술 변화를 반영하고, 혁신기업의 조달시장 진입을 높이기 위해 물품분류 신설부터 제품정보 등록절차까지 “정부 물품목록제도” 전 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혁신에 나선다.
2003년 국제표준인 UNSPSC*(유엔표준제품 및 서비스 분류체계)를 정부물품 분류체계로 도입한 이후 21년 만의 전면적 개편이다.
* United Nations Standard Products and Services Code
물품목록제도란 정부가 구매관리하는 물품과 서비스에 표준품명(물품분류)을 부여하고 주민등록번호처럼 목록번호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공공조달 진입의 첫 단계에 해당한다.
조달청은 시장기업 중심의 물품목록제도 혁신을 위해 新수요·新기술 품명 신설 활성화, 물품목록화 절차 개선, 물품목록 분류체계 정비, 지원 인프라 강화 등 4대 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국민안전 등 공공서비스 개선 관련 품명은 신설 소요기간을 대폭 단축한다. 내부검토 및 심의절차를 신속히 진행하여 소요일수를 24일에서 17일로 단축하기로 했다. 손끼임 방지 기능이 포함된 “안전문세트”, “어린이놀이시설용 바닥재” 등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안전수요를 고려했다.
또한 ▲시장의 기술 동향을 신속히 반영하기 위해 전문기관과 협업하여 휴머노이드로봇, 스마트조명 등 신기술 품명은 기업 신청에 앞서 선제적으로 발굴신설할 계획이다.
둘째, 신속자율편의성 중심으로 물품목록 등록절차를 개선한다.
▲규격화된 물품은 목록번호를 자동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하고 혁신제품 등 접수심사기한이 있어 긴급한 경우에는 우선 처리(Fast-Track)하도록 했다. ▲제품특성 정보는 기업이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지원하고 ▲목록화시 다른 제품을 참고할 수 있도록 목록정보 검색기능도 강화한다.
셋째, ▲물품분류체계는 최신 UNSPSC 국제기준과 일치시키고, ▲국민먹거리, 교통표지, 소방용방화복 등 공공안전 관련 품명은 물품 특성에 맞게 신설통합한다. 또한, ▲누구나 알기 쉽게 분류 명칭해설을 개정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목록업무 지원 인프라도 강화한다. ▲현장 목소리를 법령지침에 반영하는 “물품목록정보 전문관”을 신설해 중장기 전문성을 확보하는 한편, ’25년 정부예산안에는 ▲기술검토를 담당하는 전문 실무인력과 ▲초보기업의 궁금증을 해소할 상담창구 운영 등을 담았다.
각 과제가 시행되면 혁신벤처기업은 새로운 기술품명을 빠르게 신설하고, 물품의 특성 정보도 쉽고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품명신설 소요일수 단축 등 기업에 도움이 되는 과제는 즉시 시행되고, 분류체계 정비 등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거나 기업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 과제는 사전 안내 후 순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조달청은 물품목록정보시스템을 통해 정부물품을 9,900개 물품분류(품명)로 체계화하고 512만개 물품(품목) 등록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임기근 청장은 “공공조달의 첫 관문인 물품목록제도 혁신을 통해 시장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기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겠다”고 강조하며,
“중소벤처혁신기업이 조달시장을 통해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물품분류는 다양화하고, 등록절차는 간소화해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공공조달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공지능 활용한 국립공원 야생동물 찻길사고 예방 시스템 시범 도입
세움뉴스 | fmebsnews
국립공원공단은 포스코디엑스와 함께 이번 시범 운용 결과 바탕 국가보호종 관측 등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 위한 사용범위 확대 예정
인공지능 활용한 국립공원 야생동물 찻길사고 예방 시스템 시범 도입
국립공원공단은 포스코디엑스와 함께 이번 시범 운용 결과 바탕 국가보호종 관측 등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 위한 사용범위 확대 예정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포스코디엑스(사장 정덕균)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야생동물 찻길사고(로드킬) 예방·관측(모니터링) 시스템’을 10월 26일부터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 내 19호선 국도 약 350m 구간에 시범 적용한다고 밝혔다.
[야생동물 로드킬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흐름도]
|
|
|
|
|
|
|
| ① 야생동물 도로 상 출현 | ③ 객체인식·판별 및 위험신호 전송 | ⑤ 운전자 대상 위험정보 LED 송출 |
| ② 감지 센서 구동(라이다 센서 등) | ④ AI 딥러닝 개시 + 야생동물 관련 DB(동물 종, 출입빈도 등) 저장 | ⑥ 차량 서행주행 및 로드킬·차량사고 예방 |
이번 ‘야생동물 찻길사고 예방 시스템’은 라이다(LiDAR) 감지기, 지능형 폐쇄회로텔레비전(스마트 CCTV) 등으로 구성된 장비를 도로 양쪽에 설치하고, 야생동물이 도로에 출현할 경우, 한려해상국립공원 사무실에 설치된 관제실에서 영상자료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 시범적용 구간 양 끝 도로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으로 보여준다.
운전자에게 도로에 실제로 출현한 야생동물의 정보를 전광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려줘 동물 찻길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이번 야생동물 찻길사고 예방 시스템 구축을 위해 올해 3월 28일 포스코그룹 계열 정보통신전문업체인 포스코디엑스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업무협약을 맺었다. 포스코디엑스 기술진은 야생동물을 정확히 판독할 수 있도록 자체 인공지능 기술(VISION AI)을 활용해 찻길사고 예방 시스템의 최적화를 진행했다.
국립공원공단은 포스코디엑스와 함께 이번 시범 운용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보호종 관측(모니터링) 등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을 위해 사용범위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손영임 국립공원공단 자원보전이사는 “이번 야생동물 찻길사고 예방을 위한 협력 사업이 국립공원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모범사례가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