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반달가슴곰’ 선정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대형 포유동물로 멸종위기 증식·복원 사업의 상징
10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반달가슴곰’ 선정
세움뉴스 | fmebsnews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대형 포유동물로 멸종위기 증식·복원 사업의 상징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반달가슴곰을 10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반달가슴곰은 7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었으나 서식지 파괴, 무분별한 밀렵 등으로 2000년대 초반에는 지리산에 5마리 정도가 생존하는 것으로 파악될 만큼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었다.
환경부는 자연상태에서의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를 평가한 결과 외부에서 추가적인 개체 도입이 없으면 가까운 시일 내 국내에서 멸종할 것으로 판단하고 2004년부터 지리산 권역에 본격적인 반달가슴곰 증식·복원 사업을 추진했다.
증식·복원 사업을 추진한 지 6년 만에 야생 상태에서 첫 번째 새끼가 출산(암컷 1, 수컷 1)된 후, 현재(올해 9월 기준) 야생에 서식하고 있는 반달가슴곰은 자연에서 출생한 73마리를 포함하여 80여 마리가 지리산 권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외형적 특성은 귀가 둥글고 큰 편이며 주둥이는 짧은 편이다. 목과 어깨에 긴 갈기가 있으며, 몸 전체에 광택이 나는 검은색 털을 가지고 있다. 성체의 몸길이는 138~192㎝, 체중은 80~200㎏ 정도이다.
가장 큰 특징은 앞가슴에 반달 형태(V자 모양)로 흰색 털이 났으며, 이러한 이유로 반달가슴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다만 반달 모양은 개체마다 크기가 다르며 무늬가 전혀 없는 개체도 있다.
반달가슴곰은 나무의 열매, 도토리, 벌꿀, 곤충, 조류의 알 등 계절에 따라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잡식성으로 먹이가 부족한 겨울 동안은 동면*하는 대형 포유류다. 1월경에 동면 굴에서 새끼가 태어난다.
* 먹이 부족과 낮은 기온 등의 외부 요인에 적응하기 위하여 대사율을 낮추고 겨울 동안 휴지하는 것을 말하며, 곰의 동면은 체온 저하 정도가 작아 가수면 상태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주로 다니는 탐방로를 피해 깊은 숲속에 서식하는 등 사람에 대한 경계심과 회피 성향이 강하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반달가슴곰과의 공존을 위해 등산객을 대상으로 지정된 탐방로만을 이용할 것을 안내하고 있으며, 만약 반달가슴곰을 마주쳤을 때는 국립공원공단에서 안내하는 행동 요령*을 따라야 한다.
* △곰이 멀리 있는 경우 조용히 그 자리에서 벗어남, △가까이에 곰이 있는 경우 먹을 것을 주거나 사진을 찍지 않고 등을 보이며 뛰지 않음, △시선을 피하지 않고 뒷걸음으로 벗어남, △매우 드물지만 곰이 공격할 경우에는 막대기 등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저항
환경부는 1998년부터 반달가슴곰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하고 2005년부터 I급으로 분류해 보호하고 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을 허가 없이 포획·채취·훼손하거나 죽이는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반달가슴곰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정보는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nibr.go.kr)과 국립생태원 누리집(nie.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울릉도 지구대기관측소 승인 기념 현판식 개최
세움뉴스 | fmebsnews
우리나라 동해의 대표 지역급 지구대기관측소 승인을 기념
울릉도 지구대기관측소 승인 기념 현판식 개최
- 우리나라 동해의 대표 지역급 지구대기관측소 승인을 기념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10월 20일(금) 오전 10시에 울릉도 기후변화감시소에서 세계기상기구(WMO) 지구대기감시프로그램{GAW: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프로그램(WMO/GAW1)): 세계기상기구(WMO) 과학기술 프로그램 중 하나로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과 같은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1989년부터 구성·운영} 지역급 관측소(Regional Station)로 울릉도 기후변화감시소가 승인(’23.9.19.)된 것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현판식을 개최했다.

사진 설명 : 울릉도 지구대기관측소 승인 현판식 기념 사진 < 자료 제공 = 기상청>
기상청은 포항(1994년), 안면도(1998년), 고산(2013년)에 이어 이번에 등록된 울릉도(2023년)까지 총 4개소의 지구대기감시프로그램(WMO/GAW) 지역급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는 분야별 세계자료센터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판식에는 장동언 기상청 차장 등 기상청 관계자와 김윤배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등 울릉도 지역 관계 기관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행사는 △경과보고 △기념사 및 환영사, 축사 △현판 제막식 △감시소 관측시설 시찰 순으로 진행됐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이번 울릉도 지구대기관측소 승인을 계기로, 앞으로 더욱더 체계적으로 기후변화를 감시하고 고품질의 관측자료를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