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교감하고 산림에서 치유받자

산림치유프로그램 경진대회 개최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자연과 교감하고 산림에서 치유받자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산림치유프로그램 경진대회 개최

산림청(청장 임상섭)93일부터 106일까지 산림치유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한 7회 산림치유프로그램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참가자격은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면 누구나 가능하며개인 또는 최대 3인까지 팀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참가자가 직접 개발한 것이어야 하며 산림치유와 관련된 내용이면 분야에 상관없이 모두 가능하다.


대회접수는 93일부터 106일까지 한국산림치유지도사협회누리집(www.korfia.kr)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프로그램 세부계획서를 작성 후 담당자 전자우편(dldlsrud82@naver.com)으로 접수하면 된다.


1차 서류심사를 통해 5점을 선발하며 예선을 통과한 개인 또는 팀은 1022일 현장 시연평가를 거쳐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평가 순위에 따라 최우수상 1점 상금 100만 원, 우수상 2점 상금 각 50만 원, 장려상 2점 상금 각 20만 원이 수여된다.


장영신 산림청 산림휴양치유과장은 현장에서 활동하는 산림치유지도사들이 자유롭게 역량을 겨루고 소통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라며, ‘국민들께 양질의 산림치유 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fmebsnews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첨단 무인기 이용한 생태 분석으로 멧돼지 피해 막는다

세움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국립생물자원관, 우리나라 산지에 적합한 표준화된 멧돼지 개체 탐지 방법 개발

첨단 무인기 이용한 생태 분석으로 멧돼지 피해 막는다


- 국립생물자원관, 우리나라 산지에 적합한 표준화된 멧돼지 개체 탐지 방법 개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첨단 무인기(드론)로 우리나라 산지에 적합한 멧돼지 탐지 표준화 기법을 개발하고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레이저 펄스를 발사해 그 빛이 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해 물체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기술}센서를 이용한 3차원 서식공간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첨단 무인기를 이용한 생태 분석으로 멧돼지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멧돼지의 이동과 먹이활동, 휴식지 등 서식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


드론을활용한횡성군야생동물조사자료.png

열화상 카메라가 부착된 드론을 이용해 탐지한 멧돼지 사진 자료.png

드론을 활용한 횡성군 야생동물 조사 자료
열화상 카메라가 부착된 드론을 이용해 탐지한 멧돼지 사진 자료


연구진은 올해 4월까지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기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지역인 경북 상주와 강원도 횡성에서 총 21마리의 멧돼지를 확인해 일몰 전에는 이동과 먹이 활동을 주로 하고 일출 직후는 휴식을 취하는 행동 특성을 관측했다.


5월에는 멧돼지 출몰 지점의 서식환경을 무인기 라이다 센서로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 멧돼지는 수목이 무성한 지역의 경사가 조금 높은 능선을 ‘이동’해 수목이 적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에서 ‘먹이활동’을 한 후 수목이 무성한 나지막한 산지인 구릉지의 주변에서‘휴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첨단 센서를 탑재한 무인기 기반의 멧돼지 탐지 표준화 기법을 개발함에 따라 멧돼지 분포 측정(모니터링) 및 서식지 분석 연구에 박차를 가해 야생멧돼지 피해를 선제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찾아낼 계획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관장은 “무인기를 이용해 급경사지와 같은 접근 위험 및 불가 지역의 멧돼지 서식밀도를 파악하고, 현장 조사 기반의 서식밀도 결과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과학적인 자료 기반의 서식지 분석으로 멧돼지의 서식특성을 파악하여 수색, 울타리나 포획기구 위치 선정 등에서 보다 효과적인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세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